역대상(28)
-
20190511 역대상 13:1-14
언약궤를 옮기다 (삼하 6:1–11) 13 다윗이 천부장과 백부장 곧 모든 장수로 더불어 의논하고 2 이스라엘의 온 회중에게 이르되 만일 너희가 선히 여기고 또 우리의 하나님 여호와께로 말미암았으면 우리가 이스라엘 온 땅에 남아있는 우리 형제와 또 저희와 함께 들어있는 성읍에 거하는 제사장과 레위 사람에게 보내어 저희를 우리에게로 모이게 하고 3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궤를 옮겨 오자 사울 때에는 우리가 궤 앞에서 묻지 아니하였느니라 하매 4 뭇 백성이 이 일을 선히 여기므로 온 회중이 그대로 행하겠다 한지라 5 이에 다윗이 애굽의 시홀 시내에서부터 하맛 어귀까지 온 이스라엘을 불러 모으고 기럇여아림에서부터 하나님의 궤를 메어 오고자 할쌔 6 다윗이 온 이스라엘을 거느리고 바알라 곧 유다에 속한 기럇여아림..
2019.05.11 -
20190510 역대상 12:1-40
베냐민 지파에서 다윗을 도운 용사들 12 다윗이 기스의 아들 사울을 인하여 시글락에 숨어 있을 때에 그에게 와서 싸움을 돕는 용사 중에 든 자가 있었으니 2 저희는 활을 가지며 좌우 손을 놀려 물매도 던지며 살도 발하는 자요 베냐민 지파 사울의 동족인데 그 이름은 이러하니라 3 그 두목은 아히에셀이요 다음은 요아스니 기브아 사람 스마아의 두 아들이요 또 아스마쳣의 아들 여시엘과 벨렛과 또 브라가와 아나돗 사람 예후와 4 기브온 사람 곧 삼십 인 중에 용사요 삼십 인의 두목된 이스마야며 또 예레미야와 야하시엘과 요하난과 그데라 사람 요사밧과 5 엘루새와 여리못과 브아랴와 스마랴와 하룹 사람 스바댜와 6 고라 사람들 엘가나와 잇시야와 아사렐과 요에셀과 야소브암이며 7 그돌 사람 여로함의 아들 요엘라와 스바댜..
2019.05.10 -
20190509 역대상 11:20-47
20 ○요압의 아우 아비새는 그 삼 인의 두목이라 저가 창을 들어 삼백 인을 죽이고 그 삼 인 중에 이름을 얻었으니 21 저는 둘째 삼 인 중에 가장 존귀하여 저희의 두목이 되었으나 그러나 첫째 삼 인에게는 미치지 못하니라 22 ○갑스엘 용사의 손자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는 효용한 일을 행한자라 저가 모압 아리엘의 아들 둘을 죽였고 또 눈 올 때에 함정에 내려가서 한 사자를 죽였으며 23 또 장대한 애굽 사람을 죽였는데 그 사람의 키가 다섯 규빗이요 그 손에 든 창이 베틀채 같으나 저가 막대기를 가지고 내려가서 그 애굽 사람의 손에서 창을 빼앗아 그 창으로 죽였더라 24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가 이런 일을 행하였으므로 세 용사 중에 이름을 얻고 25 삼십 인보다 존귀하나 그러나 첫 삼 인에게는 미치지 못..
2019.05.09 -
20190507 역대상 9:35-10:14
35-34 사울의 족보 역대기는 첫 왕인 사울에 대한 이야기는 족보로 대신하고 사울의 죽음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 이것은 역대기 저자의 관심이 다윗과 솔로몬 왕정에 있기 때문이다. 실패한 왕조인 사울에 대한 이야기는 족보로 대신한다. 10:1-12 사울의 죽음과 장례 10-29장은 전체적으로 다윗의 이야기다. 다윗이 역대기에서 이렇게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그가 성정의 제도를 정비하고 성전 건축을 준비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이런 구조 속에서 사울의 죽음 이야기는 사울 왕조가 망하고 다윗 왕조가 일어난 이유와 다윗 왕조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 하는 서론적 역할을 한다. 길보아 전쟁에서 수세에 몰린 사울은 자신이 이방인의 손에 사로잡혀 욕을 보이거나, 그들의 손에 죽는 것을 두려워하여 자살을 한다. 그러..
2019.05.07 -
20190506 역대상 9:1-34
1-9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사람들 9장은 1-8장까지 나온 목록들을 정리하고 포로에서 돌아온 공동체의 명단으로 넘어간다. 역대기 저자는 1절에서 이스라엘이 망하여 포로로 끌려가게 된 것은 여호와께 범죄하였기 때문이라고 신학적인 해석을 하고 있다. 이들은 역사를 주관하시는 분은 여호와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예루살렘에 거주한다는 것은 자신이 원래 받은 기업과 거기서 나오는 소득을 포기한다는 의미다. 당시 예루살렘은 거의 폐허 상태에서 간신히 복원된 성읍인데, 이들이 예루살렘에 거주 한 이유는 예루살렘성과 성전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느헤미야 11:2에서 백성들은 이들의 헌신과 희생을 기리며 특별히 복을 빌어주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이들은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공동체를 건설하고 회복..
2019.05.06 -
20190505 역대상 7:1-8:40
7:1-5 잇사갈 자손 4대까지만 소개하고 용사의 숫자가 첨가된다. 잇사갈 용사의 숫자인 87,000명은 민수기 1:29의 54,000명과 민수기 26:25의 64,300명보다 많은 숫자로 잇사갈이 시므온 자피처럼 사라지거나 줄어들지 않고 존속하며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7:6-12 베냐민 자손 베냐민 자손에 대해서도 2-3대만 간략하게 소개하고 용사의 숫자가 나온다. 13 납달리 자손 납달리 지파는 납달리의 아들 야시엘과 구니와 예셀과 살룸만 언급되는 것이 전부로 역대기 저자가 납달리 자손에 대한 자료는 이것 외에는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단과 스블론에 대한 계보는 아예 생략되었는데 이것은 역대기 저자가 북쪽지파에 대한 자세한 자료를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4-19..
2019.05.05